[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간 갈등으로 국민 혈세 368억 원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라카 원전 사업 관련 소송비용으로 한전은 140억 원, 한수원은 228억 원을 각각 로펌 선임 비용으로 지출했다. 두 공기업 간 소송은 런던국제중재법원(LCIA)에서 진행 중이며, 중재가 장기화될 경우 추가 비용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서울 서대문갑)이 한전과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바라카 원전은 2020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설계 변경 등으로 2024년 완공으로 지연되면서 약 1조 4,000억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 한수원은 주계약자인 한전을 상대로 추가 비용 정산을 요구하며 LCIA에 제소했고, 양 사 모두 영국 현지 로펌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며 소송전을 벌이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두 기업 모두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공기업이며, 한전이 한수원의 100% 지분을 보유한 모회사라는 점이다. 올해 1월부터 분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정부가 중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점이 논란이 되고 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공기업 간의 분쟁을 방치한 결과 외국에서 수백억 원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지난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책임을 추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