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혼자 사는 노인 등의 증가로 무연고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연고자가 있음에도 인수를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무연고 사망자는 총 23,790명으로 집계됐으며, 2021년 3,603명에서 2024년 6,366명으로 1.8배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만 해도 3,436명이 발생하며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 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고자가 있으나 인수를 거부하거나 기피한 사례가 17,628명(74.1%)으로 압도적이었다. 반면 연고자가 없는 경우는 4,451명(18.7%), 연고자를 알 수 없는 경우는 1,711명(7.2%)에 불과했다. 특히 연고자가 있음에도 인수를 거부·기피하는 비율은 2021년 70.8%에서 올해 75%로 상승, 사회적 관계 단절로 인한 고독사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증가세가 뚜렷하다. 60대 무연고 사망자는 27.7%에서 31.4%로, 70대는 38.4%에서 44.1%로 증가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7,808명(74.9%)으로 여성 5,391명(22.7%)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사망 종류별로는 병사 비율이 2021년 69.9%에서 올해 상반기 79.4%로 늘어나, 평균 수명 연장에 따른 병사 증가로 분석된다.
현재 공영장례 지원 사업은 각 시군구가 담당하고 있으며, 정부는 ‘무연고 시신 등의 장사 매뉴얼’을 매년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별 예산 편성 차이로 지원 대상과 수준에는 격차가 존재한다.
박 의원은 “독거노인 증가와 1인 가구 중심의 거주 형태로 쓸쓸한 사회적 죽음이 늘어나고 있다”며 “취약가구를 적극 발굴하고, 지역별 지원 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지자체 조례와 예산을 모니터링하고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명절 등 상대적 고립감이 커지는 시기에는 가족과 이웃, 지인을 한 번 더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