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청소년 불법도박 범죄가 최근 2년 새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뿐 아니라 중독 치료와 치유서비스 이용자도 빠르게 늘고 있지만, 정작 예방교육을 받는 학교는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 사이버도박으로 형사 입건된 10대 청소년은 66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104명, 2023년 170명에서 불과 2년 만에 6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도 8월 기준 이미 207명이 적발돼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의료 현장 역시 같은 흐름을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도박중독으로 진료를 받은 10대 환자는 2022년 102명에서 2024년 267명으로 늘었다. 올해 8월 기준으로는 197명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박 치유서비스를 이용한 전체 인원 2만3234명 중 4144명(17.8%)이 10대 청소년이었다. 이는 2022년 1460명(6.5%)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예방교육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초·중·고교 1만1835개교 가운데 도박예방교육을 받은 곳은 3214개교에 불과해 전체의 27.2% 수준에 그쳤다.
문 의원은 “청소년 도박은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평생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라며 “급증하는 범죄와 중독 실태에 비해 양질의 예방교육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학교마다 제각각 운영되는 도박예방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통합하고, 정기적 관리로 학교 현장이 체계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