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국민의 기후의식이 ‘걱정’에서 ‘실천’으로 바뀌려면 체험 기반의 교육 인프라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립 기후위기체험센터는 우리 사회가 기후위기를 산업과 기술, 시민 참여로 극복해 나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9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국민의 기후위기 인식은 높지만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이 직접 보고, 느끼고, 참여하는 국립 기후위기체험센터 건립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단순 전시가 아닌 과학·산업·기술이 결합된 실감형 교육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 의원은 환경부의 ‘2024 환경보전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국민의 94%가 기후변화가 심각하다고 답했지만, 세금 인상이나 생활 불편이 따른다면 실천 의지는 50%대로 떨어졌다”며 “이는 ‘기후 정책에는 찬성하지만 불편은 싫다’는 조건부 공감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10명 중 6명이 ‘기후정보 접근성이 부족하다’고 답했고, 실제 기후행동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에 불과했다”며 “이제는 단순한 위기 인식이 아니라 체험을 통한 행동 학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일본 ‘미라이칸’, 독일 ‘비우의 집’ 등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해외 주요국은 연간 수십만~수백만 명이 방문하는 체험형 기후교육시설을 운영하며 국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며 “반면 국내 기후체험관은 대부분 유아·초등학생 대상 소규모 홍보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변화 대응은 과학적 데이터와 실감형 기술이 결합된 교육으로 확장돼야 한다”며 “온실가스 감축 실험실, 재난대응 시뮬레이션존, 기후테크 혁신존 등 참여형 학습 중심의 ‘국립 기후위기체험센터’를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200억 원 미만의 규모라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도 가능해 현실적인 추진이 가능하다”며 “파주 AI특구 등 산업·기후기술 거점과 연계하면 국가 탄소중립 정책의 실천 허브로 기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의원님 제안처럼 독립적인 기후위기체험센터 설립 방안과 함께 기존 과학관 내 기후존 특화 확대도 함께 검토하겠다”며 “국가 차원의 기후위기 교육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 보고드리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