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지난 15일 시작된 중기부 ‘상생페이백’에 국민 5명 중 1명이 몰리며 큰 호응을 얻었지만, 고령층 참여는 여전히 저조해 디지털 장벽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원이 의원은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방문 신청 지원 등 세심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동안 월별 카드 사용액이 2024년 월평균보다 늘어난 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제도로,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 소상공인 매장에서 쓴 카드 결제액만 인정된다.
중기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신청자 수는 939만여 명으로, 지역별로 경기 253만여 명, 서울 191만여 명, 부산 61만여 명 순으로 많았다. 세종(8만여 명), 제주(10만여 명), 울산(20만여 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연령대별 신청 현황을 보면, 30대(26%)와 40대(25%)가 전체 신청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50대까지 합치면 70%를 넘었다. 반면 60대 이상은 11%에 불과했다. 연령별 신청률은 30대 36.7%, 40대 30.9%, 60대 10.8%, 70대 4.1%, 80대 이상 1.1%로, 연령이 높을수록 신청률이 급격히 낮았다.
신청 과정에서 발생한 민원은 77만 건에 달했으며, 이 중 신청 방법 문의 29만 건, 디지털온누리 앱 관련 문의 19만 건으로 전체 민원의 60%를 차지했다. 페이백이 사실상 앱을 통해서만 진행되면서,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계층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김원이 의원은 “신청 2주 만에 939만 명이 몰린 것은 국민적 관심을 보여주지만, 1조 3천억 원 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계층도 불편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방문 신청 지원 등 제도를 세심하게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전국 250여 전통시장 상인회, 78개 소상공인지원센터, 13개 지방중기청 등 오프라인 신청 창구를 적극 홍보하고, 고령층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