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강원특별자치도가 2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새로운 강원특별자치시대’를 비전으로 내걸고 반도체·바이오·미래차 등 7대 미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혁신과 규제개혁, 균형발전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열리 강원도 기획조정실장은 “감자를 캐던 손이 반도체를 만드는 산업전환의 시대를 맞아, 강원도를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선도모델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반도체·바이오 등 7대 미래산업 본격 육성

이 실장은 “도는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등 7대 미래산업을 핵심축으로 삼고 있다”며 “강원권 K-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인력양성·테스트베드 구축·교재 도입·투자유치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2,300억 원 규모의 국비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보고했다.

원주·횡성을 중심으로 한 미래차 산업은 2026년까지 연구·실증·인력양성 기능을 통합한 전주기 지원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지정된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AI 헬스케어 글로벌도시 규제자유특구에서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과 헬스케어 실증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데이터 인프라 구축과 AI·디지털 산업 인재 양성도 주요 과제로 추진 중이다.

■ 군사·산림·환경 규제 해소… “특별자치 2년차 성과 본격화”

이 실장은 “위원님들의 지원 덕분에 지난해 6월 강원특별자치도 설치법 2차 개정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인 규제 해소의 문이 열렸다”고 말했다.

그는 “농업 규제 완화로 9개 농촌활력촉진지구가 지정돼 지역 여건에 맞는 농지 활용이 가능해졌고, 군사 규제로 묶여 있던 일부 지역은 15년 만에 민통선이 북상돼 주민 불편이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또 산림이용진흥지 도입으로 고성 통일전망대 시설이 7년 만에 개보수에 들어갔으며, 도가 직접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지역 특성을 반영한 평가체계가 마련됐다.

이 실장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은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비전을 완성할 핵심 법안으로, 정기국회 내 통과를 위해 국회의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 접경·폐광 지역 재도약… 지역소멸 대응 및 균형발전 박차

강원도는 접경·폐광 등 취약지역의 재도약을 위한 기반 마련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 실장은 “국방개혁으로 발생한 비활용 군용지를 산업·관광용지로 전환하고, 폐광 지역에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경제진흥사업이 신속히 추진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영동지역의 가뭄 대응을 위해 2031년까지 지하 저류댐 8개소를 설치해 대체 수원을 확보하고, 대형 산불 재발을 막기 위한 입체적 재난대응체계도 구축 중이라고 보고했다.

■ 수도권 1시간대 “강원 교통망 시대” 본격화

교통 SOC 확충은 강원도의 핵심 과제로 꼽혔다.

이 실장은 “용문–홍천 광역철도와 춘천–속초선 철도의 적기 추진을 위해 중앙정부와 협력 중이며, GTX-B 노선의 춘천 연장과 삼척–강릉 고속화철도 조기 착공 등 주요 노선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는 “교통망 확충을 통해 수도권과 강원 간 1시간 생활권을 실현해 산업·관광·주거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 도민 삶의 질·관광 경쟁력 강화

강원도는 2025~2026년을 ‘강원방문의 해’로 선포하고 사계절 체류형 관광 및 글로벌 관광상품 개발, 도내 공항 활성화를 통한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또한 출산율 제고를 위해 육아기본수당 확대, 공공산후조리원 확충, 의료격차 해소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이 실장은 “2024년 합계출산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4위를 기록했다”며 “청년층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대학·기업·지자체 간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감자를 캐던 손이 반도체를 만든다”… 강원형 산업전환 선언

이 실장은 보고를 마무리하며 “감자를 캐던 손이 반도체를 만들고, 규제로 묶였던 땅이 산업의 터전으로 변하고 있다”며

“강원도가 대한민국 산업전환과 균형발전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