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정부가 다음 달 ‘제3 벤처붐’ 실현을 목표로 ‘(가칭)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인천의 벤처 생태계가 R&D와 투자 기반의 절대적 취약성으로 신성장 정책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종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25일 중소벤처기업부 자료를 인용해 “인천의 벤처 생태계가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첨단 기술 중심의 벤처 정책에서 인천이 배제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기준 인천의 벤처기업은 총 1,791개사이며, 이 중 ‘혁신성장유형’ 기업이 1,323개사(73.9%)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벤처투자유형’은 228개사(12.7%), ‘R&D유형’은 225개사(12.6%)로 두 유형을 합쳐도 25.3%에 그쳤다.
이는 다른 주요 지역과 비교해도 뚜렷한 격차를 보인다. 인천의 ‘벤처투자유형’ 비중(12.7%)은 전국 평균(20.8%)은 물론 서울(35.9%)의 3분의 1 수준, ‘R&D유형’(12.6%)은 대전(23.3%)의 절반에 불과하다.
인천의 투자 기반 부진은 모태펀드 투자 실적에서도 드러난다. 2024년 인천 모태펀드 투자액은 554억 원으로, 서울(7,358억 원)의 7.5%, 경기(4,164억 원)의 13.3% 수준에 그쳤다.
2025년 8월 기준 역시 254억 원에 불과, 수도권 내에서도 ‘투자 가뭄’ 현상이 심각한 상황이다.
허 의원은 “벤처 생태계의 양적 성장은 유지되고 있지만, R&D와 투자유치 기반이 약해 기업 스케일업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로는 정부가 막대한 재원을 투입할 AI·딥테크 중심의 제3 벤처붐에서 인천이 소외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시는 지역 벤처기업이 양적 성장에 머물지 않고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R&D 인프라와 투자 생태계 확충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중소벤처기업부 또한 벤처 정책에 지역균형발전 특례를 반영해 인천이 성장축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인천 벤처 생태계의 질적 전환 없이는 수도권 내 산업 불균형이 심화되고, 정부의 ‘벤처 4대 강국’ 비전 역시 반쪽짜리에 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