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인천 검단신도시에 조성될 예정이던 ‘휴먼에너지타운’ 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였다. 에너지 자립형 신도시 모델로 주목받았던 이 사업은 사실상 추진이 멈추며, 검단신도시의 친환경·스마트도시 구상이 흔들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도시공사(i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1월 발주된 ‘검단신도시 휴먼에너지타운 타당성 검토 및 사업추진 전략 수립 용역’이 지난해 5월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률이 98%에 달했지만, 2년 넘게 사업계획 재검토만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2009년 검단신도시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 시범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해 검단신도시 내 5개 특별계획구역 중 하나로 ‘휴먼에너지타운’을 지정했다.

2022년 12월에는 해당 사업계획(안)이 검단신도시 개발계획(9차) 및 실시계획(8차) 변경 승인을 받으며 본격 추진 단계에 들어섰다. 휴먼에너지타운은 중앙호수공원 서측 15만6,362㎡ 부지에 ▲아파트 830세대 ▲연립주택 316세대 ▲단독주택 80세대 ▲공원녹지 ▲연료전지발전소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자립형 주거단지’로 조성될 계획이었다.

특히 연료전지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단지 내에 직접 공급하고, 보행자 중심의 도로체계를 도입해 ‘차 없는(Car-Free) 단지’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친환경 신도시 모델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인천도시공사는 “연료전지발전소 설치에 대한 주민 수용성 문제와, 시장 조사 결과 사업 참여 의향을 밝힌 민간사업자가 전무한 점이 걸림돌로 작용했다”며 용역 중단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iH는 연내 사업화 방안 재검토를 마치고, 내년 특별계획구역 변경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검단신도시의 에너지 자립도시 구상이 사실상 백지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허종식 의원은 “에너지 절약형 도시 건설은 기후위기 시대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지금이라도 사업성 분석과 주민·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