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인천 지역 소상공인 지원 인프라가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43만 명의 소상공인이 사실상 정책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 소상공인 수는 43만 명으로 전국 5위 규모임에도 지원 센터는 북부·남부 단 2곳, 직원 19명에 불과해 광역시 중 최소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센터 직원 1명당 약 2만 2,632명의 소상공인을 담당해야 하는 ‘과중한 업무 환경’이 조성됐다. 이는 전국 평균(16,895명)보다 약 34% 많은 수치다. 소상공인 수가 인천보다 적은 대구(33만9천 명)와 광주(20만1천 명)가 각각 3개 센터를 운영하는 것과 비교하면 지원 인프라 부족이 더욱 두드러진다.

과중한 업무 부담은 인력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인천 센터의 퇴사율은 10.34%로, 울산(11.11%)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높았다. 전국 평균 퇴사율(4.04%)과 비교하면 2.5배에 달한다.

허 의원은 “인천은 수많은 소상공인이 지역 경제의 허리를 받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지원 조직과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정부는 인천과 같이 소상공인 규모와 지원 인프라 간의 구조적 불균형이 심각한 지역의 현실을 파악하고, 조직 개편과 인력 확충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