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전국에서 온누리상품권 회수수수료를 가장 많이 챙긴 금융기관이 부정유통 가맹점들과 거래한 새마을금고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새마을금고는 부정 거래 의심 업체와 수년간 거래하며 누적 회수수수료 약 44억 원을 수령해, 전체 금융기관 중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온누리상품권 회수수수료 지급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9월까지 전체 금융기관에 지급된 회수수수료는 약 771억 원, 지급 대상은 3,857곳이었다.

기관당 평균 수수료는 약 2천만 원이지만, 문제의 새마을금고는 이보다 220배가량 많은 44억 원을 받아 전체 수수료의 5.7%를 혼자 차지했다.

온누리상품권은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상품권으로, 금융기관은 가맹점의 상품권을 현금으로 환전해주고 1.3%의 회수수수료를 받는다.

그러나 부정유통 가맹점이 허위매출을 일으켜 보조금을 편취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상품권 제도의 근간을 뒤흔드는 사건으로 비화했다.

문제가 된 새마을금고와 거래한 가맹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확인된 세 곳으로, 월평균 약 200억 원 규모의 허위 환전을 통해 보조금을 빼돌렸다.

2023년부터 가족 명의의 유령회사를 동원해 규모를 확대한 이들 업체는 현재 사기, 업무방해, 보조금 관리법 위반,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장철민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와 예결위에서 “매달 상품권 수십억 원이면 사과상자에 담아도 리어카로 옮겨야 할 정도”라며 “은행이 부정유통 가능성을 몰랐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철저한 점검을 요구했다.

당시 부총리와 금융위원장은 점검 의사를 밝혔으나,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해당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사나 고발조치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중기부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금융기관에 자체감사 등을 요구한 사례는 단 4건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금융기관이 자체감사 후 보고한 건을 사후 승인하는 수준이었다.

장 의원은 “금융기관이 눈감고 수수료를 챙기는 동안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갔다”며 “부정유통의 관문이 된 금융권에 대한 전면 감사와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