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하는 산재병원의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내구연한을 초과하고, 의료진 충원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안전과 치료 신뢰도 확보를 위해 장비 교체와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포시갑)이 15일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산재병원(의원 포함)의 전체 의료장비 4,862점 가운데 2,548점(52.4%)이 내구연한을 초과했다.

의료장비 노후화율은 2020년 33.5%에서 2021년 36.1%, 2022년 40.5%, 2023년 45.4%, 2024년 50.1%로 매년 상승했으며, 올해는 52.4%에 달했다. 특히 6년 이상 사용한 장비가 954점, 10년 이상 263점, 16~20년 이상 64점에 달하는 등 장기 사용 장비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

CT, MRI 등 주요 장비의 노후율도 46.7%로, 환자 안전과 진단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장비의 노후율은 2020년 40.8%에서 2021년 43.3%, 2022년 48.2%, 2023년 43.7%, 2024년 45.3%를 거쳐 올해 46.7%까지 증가했다.

의료진 상황도 열악하다. 산재병원 의사 수는 2020년 213명에서 올해 240명으로 증가했지만, 전체 의사 퇴사율이 평균 22.8%에 달하며, 충원율은 평균 87.0%에 그쳐 의료 공백 우려가 지속된다. 실제로 공단은 2024년 2월 전공의 파업 당시 전국 응급실 진료 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진료대책본부를 구성하고 24시간 응급실·수술실·중환자실을 운영했으며, 2만 명 이상의 응급환자를 진료했다.

하지만 장비 노후화와 인력 부족은 여전히 산재병원이 설립 목적을 달성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김주영 의원은 “산재노동자의 치료와 재활을 책임지는 산재병원이 의료장비 노후와 인력 부족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필수 의료장비 교체와 의료진 확충을 통해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검사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사고 예방 못지않게 사고 후 치료, 재활, 직업 복귀까지 정부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