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현 대통령 집무실인 용산 국방부 청사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놨다.

그는 “용산 대통령실은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전시 지휘체계의 분산과 상징성 문제를 이유로 기존 청와대 또는 정부서울청사, 세종 집무실의 병행 운영을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14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용산은 내란의 상징일 뿐 아니라, 국가 위기 상황에서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구조”라며 “전시 지휘체계의 핵심 인사들이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리스크를 막기 위해서라도 기능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용산 집무실의 대안으로 ▲서울 내 집무실 재배치 ▲세종 집무실 확대 운영 두 가지를 제시했다. “서울에서는 청와대나 정부청사를 활용할 수 있으며, 세종에는 이미 대통령 집무실이 존재하고, 국무회의도 가능하다”며 “대통령이 세종에서 상시 근무하며 장관들과 국정 현안을 수시로 논의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방식이 대통령실의 권력 집중을 견제하고, 장관들이 책임감을 갖고 국정을 운영하는 ‘책임장관제’ 실현에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연합정부 구상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부 시절, 촛불 시민의 뜻을 함께한 정치세력이 함께 국정 운영에 참여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크다”며 “이번에는 반드시 ‘빛의 혁명’에 참여한 세력들이 공동으로 연정을 구성해 사회 대개혁, 국가 대개조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공동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도 “민주당이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밝혀, 야권 통합 움직임에도 힘을 실었다.

당내 경선 룰을 두고 벌어지는 갈등에는 “샅바싸움은 길게 끌 필요 없다”며 “당이 정한 룰이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고 말하며 내부 갈등 진화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