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민의 숨은 금융자산 규모가 18조 원을 넘어섰으며, 이 중 장기 미거래(미청구) 자산이 1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지만, 최근 5년 반 동안 오히려 장기 미거래 자산은 3조 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이양수 의원(국민의힘·속초·인제·고성·양양)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숨은 금융자산은 총 18조 4000억 원이며, 이 가운데 거래가 장기간 이뤄지지 않은 미청구 자산이 14조 1376억 원(약 76%)으로 집계됐다.

장기 미거래 자산은 2020년 말 10조 8428억 원에서 5년 반 만에 3조 3천억 원 증가했다. 금융당국이 지속적으로 자산 환급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실질적인 회수 실적은 미미한 셈이다.

자산 유형별로는 미거래 예·적금이 약 7조 원(49.5%), 미거래 보험금이 약 5조 2,400억 원(37%)으로, 은행과 보험사가 전체 장기 미거래 자산의 87.9% 를 차지했다.

은행권에서는 KB국민은행(9,979억 원)과 하나은행(9,502억 원)의 미거래 예·적금이 각각 1조 원에 육박했다. 이어 우리은행(7344억 원), 신한은행(7303억 원), IBK기업은행(6004억 원), NH농협은행(5431억 원) 순으로 주요 시중은행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상호금융권 중에서는 농협중앙회의 장기 미거래 예·적금 잔액이 1조 3746억 원으로, 전 금융권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업계에서는 생명보험사 중심으로 미청구 보험금 잔액이 높게 나타났다.

흥국생명이 1조 47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양생명(9255억 원), 신한라이프(8,099억 원), 한화생명(6600억 원), 삼성생명(5969억 원) 순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금융감독원이 진행하는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 예산은 2022년 440만 원, 2023년 440만 원, 올해 432만 원에 불과했다.

이양수 의원은 “금융당국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칠 것이 아니라 금융회사들이 고객의 숨은 자산을 적극적으로 찾아 돌려줄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장기간 청구되지 않은 예·적금과 보험금을 단순히 고객 부주의로 볼 것이 아니라, 금융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권리 행사를 적극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