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윤석열 정부 당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기준을 완화했지만, 가장 큰 혜택을 본 업종은 병·의원으로 나타났다. 연간 13억 원 결제가 발생한 병원도 있어, 전통시장 중심 지원이라는 정책 취지와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소벤처기업부 자료에 따르면, 업종완화 신규 가맹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총 3,654곳으로, 결제금액은 457억 7,000만 원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병·의원 1,777곳이 348억 3,000만 원으로 전체 결제액의 76%를 차지했고, 학원 1,428곳이 101억 8,000만 원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병원의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은 최고 13억 원을 기록한 사례까지 있어, 중소형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정책 취지와 어긋난다는 비판이 나온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료에 따르면, 결제액 상위 5곳 병의원은 세종 A 정형외과(13억 1,300만 원), 경기 B 치과(10억 2,400만 원), 대전 C 의원(9억 9,500만 원), 서울 D 의원(9억 3,600만 원), 서울 E 치과(9억 3,500만 원) 순이었다.

중기부는 일부 병원의 결제 사유를 “일일 환자 250명 규모, 물리치료 환자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대형병원에서 고액 결제가 발생하는 점은 정책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또한 가맹점 총매출액을 확인할 수 없어, 골목형 상점가가 아닌 대형 병원에서도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도 드러났다.

현재 온누리상품권 가맹 자격에 연매출 30억 원 이하 제한을 두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계류 중이다. 김원이 의원은 “섣부른 업종 완화로 병원만 수혜를 보고 있다”며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 중심 지원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