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이 공무원 생존권 보장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세 번째 거리로 나섰다. 공무원·교원 단체들과 연대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는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를 규탄하며,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강도 높은 결의대회를 열었다.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이하 공노총)은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3차 간부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공노총을 포함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민주우체국본부, 교육청노동조합연맹, 전국경찰직장협의회 등 공무원·교원 단체들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공노총은 공무원보수위원회와의 협상 과정에서 ▲공무원 임금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 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천 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 현실화 ▲정근수당 및 명절휴가비 10% 인상 등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두 차례 전체회의와 세 차례 소위원회에서 지난해보다도 낮은 수준의 인상안을 제시하며 사실상 협상을 지연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결의대회에 참여한 공무원 간부들은 “경제 위기와 민생 회복이라는 명분으로 공무원 처우 개선을 외면하고 있다”며 정부를 규탄했고, 회의장 주변에서는 손팻말을 든 1인 시위가 이어졌다.

정우철 공노총 부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은 2차 보수위 회의 날, ‘돈 벌려면 기업 가라’는 발언으로 120만 공무원 노동자에게 비수를 꽂았다”며, “정부는 공무원의 절규를 단순한 돈벌이 요구로 왜곡하지 말고, 그에 합당한 해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도 “공무원 노동자는 정권의 하수인이 아닌, 국민과 국가를 위해 일해온 동반자”라며, “정부가 이들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투쟁은 한여름보다 더 뜨거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노총과 공투위는 오는 7월 28일부터 8월 13일까지 대통령실 앞에서 릴레이 집회와 1인 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또한, 8월 6일에는 조합원 2,000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결의대회를 개최해 생존권 사수를 위한 총력 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