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농민단체 농성장을 찾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 배경을 직접 설명하고, 농업 관련 입법 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 총리는 “송 장관 유임은 국민 통합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판단한 것”이라며 “정부는 농업4법을 반드시 통과시킬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농성장을 찾은 김 총리는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 등 8개 단체가 모인 ‘농민의 길’과 면담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농민단체들은 앞서 송 장관의 유임 결정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 상태였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식량주권, 농업주권 문제의식을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강하게 갖고 있다”며, 이번 인사가 정책 후퇴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과거 농업4법에 거부권을 건의했던 장관을 유임했다는 이유로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을 오해할 수 있지만, 확실히 말할 수 있다. 정부 기조는 오히려 더 강화됐다”고 말했다.
또 “송 장관 역시 유임이 쉽지 않은 선택이었을 것”이라며 “앞으로 어떤 정책 비전을 제시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면담에서 농민단체들은 김 총리에게 ▲2주 내 농민들과의 공개 토론회 개최 ▲이재명 대통령과의 타운홀 미팅 주선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의 실질화 등을 요구했다. 이에 김 총리는 “2주 이내에 총리 공관이나 집무실에서 다시 만나 논의하자”며 수용 입장을 밝혔다. 또 “대통령께도 농민과의 대화를 우선순위로 올려달라고 건의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는 “세종에서 첫 한 주를 보내며 농업 관련 정책을 집중 논의하겠다”며 “정부가 풀어가야 할 농업 의제를 직접 정리해보겠다”고도 밝혔다.
한편, 농민단체들은 송 장관을 ‘농망장관(농업을 망치는 장관)’으로 규정하며 “이재명 정부의 배신”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대통령과의 면담이 성사되거나 송 장관이 자진 사퇴할 때까지 농성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