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자원순환 정책이 지방정부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고양특례시가 폐자원의 가치를 되살리는 ‘일상 속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폐목재 유상 판매, 순환자원 회수로봇 확대, 자원순환가게 운영, 학교 연계 교육까지 다양한 정책을 통해 시민이 참여하는 자원순환 도시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고양시는 순환자원 회수로봇과 자원순환가게 운영을 기반으로 생활 속 분리배출 문화를 정착시키는 한편, 내년부터는 대형폐기물 중 폐목재를 유상 판매해 도시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폐기물 감량과 재활용률 제고를 위한 전략적 조치다.
■ 폐목재, 무상 처리에서 ‘도시 자원’으로… 유상 판매 전환 추진
현재 고양시에는 하루 평균 310톤 이상의 생활폐기물이 발생하며, 이 중 180톤은 공공소각시설에서 소각되고 130톤은 수도권매립지로 보내지고 있다. 시는 폐기물 감량을 위해 내년부터 가구 등 대형폐기물 중 폐목재를 유상 매각해 재정에 재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지난해 적환장에 적재된 대형폐기물은 2만3436톤으로, 이 가운데 약 47%인 1만973톤의 폐목재가 재활용업체에 무상 반출됐다. 시는 온비드 플랫폼을 통해 재활용업체 선정을 진행 중이며, 이후 평가를 거쳐 판매가격을 확정할 계획이다.
고양시는 이미 폐자원 에너지화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고양환경에너지시설에서 발생한 고온 폐열(77,963Gcal)을 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해 약 22억 원의 수익을 올렸으며, 고양바이오매스에너지시설에서는 지난해 534만㎥ 이상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약 6,700만 원의 수익을 냈다.
덕양구청에 설치된 '순환자원 회수로봇'
■ 회수로봇·자원순환가게, 시민 참여 기반 ‘도시형 순환경제’ 구현
고양시는 올해 재활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순환자원 회수로봇 11대를 고양시청 등 7개소에 운영 중이다. 이 로봇은 라벨 제거 여부, 재질 등을 자동 인식해 페트병·캔 수거 정확도를 높이면서 ‘수퍼빈’ 앱을 통해 개당 10포인트를 지급한다.
10월 말 기준 1만3388명의 시민이 참여해 23.7톤을 회수했으며, 지급된 포인트는 1347만 포인트에 달한다. 회수된 투명 페트병은 r-PET 플레이크로 재생돼 페트병·섬유 등 고품질 소재로 재탄생한다.
자원순환가게 15곳(덕양구 5·일산동구 5·일산서구 5)도 운영 중이며, 플라스틱·투명 페트병·종이팩 등을 무게로 계량해 포인트를 지급하고 2천 포인트 이상부터 현금 인출이 가능하다. 올해 24톤이 회수돼 725만 포인트가 지급됐다.
각 동 행정복지센터에서도 투명 페트병, 폐건전지, 종이팩을 종량제봉투로 교환하는 재활용품 교환사업이 확대 운영 중이다. 10월 기준 ▲투명 페트병 5,779kg ▲폐건전지 48,513kg ▲종이팩 21,175kg이 수거됐다.
■ 학교 연계 ‘자원순환의 날’… 미래 세대의 순환경제 감수성 높여
고양시는 하반기 동안 ‘학교와 함께하는 자원순환의 날’을 초·중·고·유치원 대상으로 순차 운영하며 학생·교사·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자원순환과 직원이 직접 학교를 방문해 폐건전지·종이팩 계량, 보상품 지급, 수거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7월 도래울중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총 17개교가 참여했으며, 12월에도 초·중·고와 유치원 등 여러 학교가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4월부터는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어린이집·유치원, 학교 등을 직접 방문하는 ‘찾아가는 쓰레기 줄이기 교육’도 운영해 올바른 분리배출과 생활 속 재활용 실천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올해 24개 기관에서 총 92회 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다.
■ 이동환 시장 “폐기물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쓰이는 자원”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생활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폐기물을 소중한 자원으로 되살리는 순환경제를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환경과 지역경제를 함께 살리는 길은 시민 참여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