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친환경을 말하면서 새 옷을 태우는 것은 모순이다. ESG는 광고가 아니라 실천이어야 한다. 의류 소각을 금지하고, 시민과 함께 녹색 소비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이학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김포)은 29일 국정감사에서 “국내 대기업 패션업체들이 판매되지 않은 새 옷을 매년 수십 톤씩 태우며 ‘친환경’을 외치고 있다”며 “고가 이미지를 유지하려고 멀쩡한 옷을 소각하는 행태는 환경과 상식 모두에 반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학영 의원은 “최근 패션업계의 재고 소각 실태를 보면, 삼성물산은 연평균 106.7톤, 한성패션은 41.1톤, LF패션은 45톤의 의류를 폐기하고 있다”며 “이들 기업은 친환경 마케팅을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대기오염과 탄소배출을 유발하는 이중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A사는 재생 소재와 업사이클링 제품을 홍보하지만, 2022년 94억 원, 2023년 97억 원, 2024년에는 129억 원 상당의 고가 의류를 소각했다”며 “이는 소비자 신뢰를 저버리는 ESG의 그린워싱 사례”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2018년 영국 명품 브랜드 버버리가 422억 원 규모의 제품을 태운 일이 국제적으로 비판받은 전례가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같은 잘못을 반복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소각 과정에서 탄소뿐 아니라 미세먼지, 중금속, 바이오다이옥신 등 독성물질이 다량 발생한다”며 “특히 평택·안산 등 주요 산업도시에서 이뤄지는 대량 소각은 지역 주민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의류 소각 전면 금지, 생산자책임제 도입해야”

이 의원은 “기업의 자율 협의체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의류 생산과 폐기를 줄이는 생산자책임제(EPR)를 도입하고, 유럽처럼 의류 소각을 전면 금지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기부 시장이 한정돼 있다면, 해외 저소득층 지원을 통한 국제기부 방식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적절한 생산과 소비의 균형을 만드는 것이 ESG의 본질”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유럽은 이미 의류 소각을 전면 금지했고, 우리도 그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재사용·재활용 기술 개발(R&D)을 추진하고, 가급적 기부나 할인판매로 재고를 처리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답했다.

■ “민간 환경 거버넌스 복원 시급”… 정부 단절 정책 비판

이 의원은 “윤석열 정부 들어 민간 환경정책협의회, 녹색구매지원센터, 메세나그린 등 시민사회 기반 거버넌스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며 “정부 혼자 기후위기 대응은 불가능하다.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제도적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장관은 “이미 상당 부분은 복원 중이며, 내년 예산에도 관련 항목을 반영했다”며 “민간 협의체 운영과 교육 지원을 확대해 거버넌스 체계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 낙동강 녹조조사 확대 요청

이 의원은 마지막으로 “낙동강 녹조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며 “민간단체와 협력해 녹조의 인체 위해성, 농산물 오염 실태를 국가기관 차원에서 조사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김 장관은 “현재 일부 구간에서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공개 중이며, 식약처와 협업해 낙동강 하류 농식품의 안전성도 공동 조사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