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김규훈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역대 최고 투표율(79.5%)을 기록한 가운데, 과반 득표 미달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은 내란 척결과 국민 통합이라는 중대한 과제 앞에 섰다.

경실련이 개최한 ‘21대 대선 결과의 의미와 향후 전망’ 토론회에서는 이번 선거가 단순한 민주주의 회복을 넘어 정치적 책임과 협치, 실용적 정책 실행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1대 대선 결과와 향후 국정 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21대 대선 결과의 의미와 향후 전망’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임효창 경실련 상임집행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주요 발제자들은 이번 선거가 국민 분열과 적대적 정치구조를 반영하는 동시에 정치적 책임과 통합의 새로운 과제를 던졌다고 평가했다.

하상응 경실련 정치개혁위원장은 이번 대선을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사실상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이 선거 결과에 이미 영향을 미친 과정”으로 규정했다. 그는 이재명 당선인이 과반 득표에 실패한 점, 그리고 김문수 후보가 40% 넘는 지지를 얻은 점을 주목하며 “내란 척결과 국민 통합 사이에서 이재명 정부가 지혜로운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사회 갈등을 완화하고 정치 지형의 좌측 공간을 메우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성민 한국외대 교수는 이번 대선 투표율이 79.5%로 매우 높은 데 대해 “민주주의 회복을 넘어 정치 양극화 속 양 진영이 총동원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내란세력과 반내란세력 구도로 선거가 진행되면서 정책 중심 선거가 어려웠고, 이재명 후보의 공약 실현 가능성과 구체적인 재원 조달 계획 부족이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신현기 경실련 정부개혁위원장은 이번 사태가 헌정 사상 유례없는 비상계엄 상황임을 상기시키며, “이재명 당선인은 권력 기반에 대한 과신을 경계하고 내각 중심 국정운영과 협치의 제도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전임 문재인 정부와의 관계 설정과 사법적 내란 종식 과정의 신중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현지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번 대선을 “시민 주도의 내란 평화적 종결”로 평가하면서도, “급박한 선거 과정에서 정책보다는 내란 프레임이 강하게 작동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가 기술 중심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조화시키는 실용적 비전을 구체화해야 하며, 극우 성향 확산 등 사회 분열 과제 해결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웅 경실련 시민입법위원회 위원장은 “유권자의 절반이 다른 선택을 했다는 점에서 독선을 경계하고 국민과의 소통과 사회 갈등 치유를 위한 리더십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