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13일 ‘새정부 자치경찰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공론화 및 정책 건의’를 주제로 한국지방자치학회, 세종자치경찰위원회, 강원자치경찰위원회, 경찰대학 자치경찰발전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13일(수) 원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새정부 자치경찰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공론화 및 정책 건의’를 주제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국지방자치학회, 세종자치경찰위원회, 강원자치경찰위원회, 경찰대학 자치경찰발전연구원과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자치경찰제 제도 개선과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기조강연 2편, 주제발표 3편, 종합토론으로 구성됐다. 기조강연에서는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원장이 ‘새정부 출범에 따른 자치경찰제의 발전방향과 정책과제’를, 황문규 중부대 교수가 ‘새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자치경찰제 제도·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주제발표에서는 김필 부연구위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주민 중심의 자치경찰제 개선방안’을 통해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춘 기초 단위 특화 모델과 주민 주도의 제도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동균 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은 ‘제주형 자치경찰 모델 발전방안’을 통해 자치경찰단 소속 일원화, 제주시·서귀포시 간 균형 배치, 본부·지청 설치 가능성 등 조직 개편 방향과 사무 배분 명확화를 제안했다.

김흥주 연구위원(세종자치경찰위원회)은 ‘세종형 자치경찰 이원화 추진전략’을 주제로 세종시 특화 치안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며, 융합행정과 공공가치 공동창출을 강조했다.

종합토론은 임정빈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을 좌장으로, 경찰위원과 시·도 자치경찰위원장, 경찰대학 교수, 연구원 실장 등 7명이 참여해 자치경찰 현안과 발전 방향을 심층 논의했다.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원장은 “현장 경험과 연구 성과를 토대로 자치경찰제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주민 체감형 치안서비스와 지역 맞춤형 자치경찰제 개선을 위한 실질적 해법이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1984년 설립된 정책연구기관으로, 지방자치 관련 정책·제도 개발과 지방자치단체 지원, 경영 진단 및 컨설팅을 수행하며 자치 분권과 균형 발전 관련 학문적 기반 구축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