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공유형 ESS(에너지저장장치) 실증사업 협약식)
[프레스데일리 한종갑 기자]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추진한 대기질 개선 정책이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4년 고양시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8년 사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지난 3년간 약 143톤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등 민선8기의 전방위 환경정책이 실효성을 입증했다.
경기도 대기오염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고양시의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34㎍/㎥, 초미세먼지(PM-2.5)는 18㎍/㎥로 2017년 대비 각각 38%, 35% 감소했다. 지난 3년간 감축한 미세먼지 양은 143.74톤에 달해, 이는 노후 경유차 1만 3천 대가 1년간 배출하는 수준에 해당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깨끗한 공기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의 자원”이라며 “아이들에게 쾌적한 대기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초미세먼지 배출 비중이 높은 수송부문(48%)에 집중해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건설기계 엔진교체, 화물차·지게차 전동화 개조 등을 지원했다.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166억 원을 투입해 노후 경유차 5,208대의 폐차를 돕고, 전기·수소차 9,442대 보급을 지원했다. 충전 인프라는 총 10,547기(급속 1,086기)로 확대됐다.
녹지 확충에도 속도를 냈다. 도시숲·포켓숲 53개소(455,679㎡)를 조성해 2026년 목표를 1년 앞당겨 달성했고, 하반기에는 추가 230,057㎡를 확보할 예정이다. 취약계층 시설 586곳에 공기청정기를 보급하고 실내공기질 무료 측정 서비스를 실시해 건강권 보호에도 힘썼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실증사업도 병행 중이다. 2022년부터 143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태양열·지열 설비를 보급했으며, 전국 최초로 경기도·한국전력·LS일렉트릭과 ‘공유형 ESS 실증사업’ 협약을 맺어 전력망 안정화와 전기요금 절감을 추진한다.
고양시의 이러한 대기질 개선 정책은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환경 변화와 더불어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지속가능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