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민의힘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 시도가 전당원투표에서 부결되면서 지도부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비상대책위원장 권영세가 자진 사퇴한 가운데, 지도부 핵심이자 교체 과정에 깊이 관여한 권성동 원내대표에게도 “쌍권(雙權) 공동 사퇴”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인사 교체를 넘어, 친윤 주도 체제의 정당성과 전략적 신뢰에 금이 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권영세는 물러났지만…‘공동 책임’의 그림자

후보 교체 시도 실패 직후, 권영세 위원장은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며 즉각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권영세 혼자 책임지는 건 불공정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당장 친한동훈계 의원 16명이 “권성동 원내대표도 사퇴하라”고 요구했고, 안철수·강민국 의원 등 비주류도 동조하고 있다.

이들은 권 원내대표가 교체 시나리오에 깊숙이 개입했고, 비대위 운영 전반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대행 체제’로 넘기겠다는 권영세, 수습인가 회피인가

권영세 위원장은 사퇴 발표와 동시에 “비대위는 권성동 대행 체제로 가야 한다”고 못 박았다.

이는 지도 체제의 공백을 최소화하려는 수습책으로 읽히지만, 반대 진영에선 이를 “책임 회피용 권력 이양”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권성동 역시 교체 실패 책임자”라는 인식이 강한 상황에서 그가 비대위를 대행하는 구조 자체가 당내 갈등을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당내 권력 지형 변화…친윤 체제의 균열

후보 교체의 전면에 섰던 친윤계의 판단이 당원 표심과 충돌하면서, 그간의 윤심 중심 통치방식에 대한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지도부의 전략 실패가 아니라, 당원 기반을 결집하지 못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낸 사건이다.

향후 지도체제가 재편될 경우, 친윤 주류의 독주를 견제하는 목소리가 강화되고, ‘공정한 절차’와 ‘당원 주권’이라는 가치가 중심축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수면 위로 드러난 당내 ‘권력 블록’ 재편 시그널

이 사태를 계기로 국민의힘 내부 권력 블록이 새롭게 정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친윤계는 향후 정국 수습을 주도하면서 다시 중심을 잡으려 할 것이고, 친한계 및 비주류는 당 지도체제 개편을 주장하며 반격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차기 대선 경선 경쟁자들(예: 한동훈, 나경원, 안철수 등) 역시 당내 입지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국면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이번 후보 교체 무산은 권영세 개인의 실책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를 둘러싼 공동 책임론, 지도부 전면 재편 요구, 친윤 체제의 균열은 모두 국민의힘 내 구조적 위기의 신호탄이다.

결국 관건은 당 지도부가 ‘당원 주권’과 ‘정치적 리더십’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느냐다.

향후 선대위 구성, 원내 전략, 공천 룰까지—이제 정치적 무게 중심은 다시 당원과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