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민의힘이 전당원 투표 끝에 대선후보 교체안을 부결시키며 김문수 후보 체제를 유지하게 됐다.

하지만 이 결과는 단순한 후보 지명의 문제를 넘어, ‘누가 당의 주인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떠올리게 했다.

당원들의 의사가 당 지도부의 전략적 판단을 넘어선 이번 사태는, 당원 민주주의와 정무적 리더십 사이의 긴장 구조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당 지도부의 ‘정치적 계산’…당원 표심에 막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와 선관위는 후보 교체를 통해 선거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판단을 내렸지만, 이는 당원 다수의 감정과 정서에 반했다.

지도부는 한덕수 전 총리를 ‘확장성 있는 후보’로 판단했으나, 당원들은 *“경선을 통과한 후보를 지도부가 뒤엎는 것이 당헌·당규와 민주주의 원리에 부합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당 한 관계자는 “지도부는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판단했지만, 당원들은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더 중시한 것”이라며 “결국 후보 교체는 정당성이 약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당원 민주주의, 절차의 정당성 vs 결과의 효율성

이번 사태는 당원 중심 정당을 표방해온 국민의힘이 정작 당원 의사를 무시하려 할 때 어떤 반발에 직면하는지를 보여줬다.
경선을 통해 선출된 후보가 1주일도 안 돼 지도부 판단으로 교체되는 과정은, 아무리 투표라는 절차를 거친다 해도 정치적 일방통행으로 비쳤다는 분석이다.

정치학자 김OO 교수는 “정당이 대중정당화될수록 절차의 투명성과 구성원 합의가 중요해지는데, 이번 사태는 그것을 무시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친윤 중심 지도체제의 ‘정치적 판단력’ 한계 드러나

이번 사태는 당내 권력 구도에도 충격을 던졌다.

친윤계가 주도한 후보 교체 시도가 당원에 의해 거부당하면서, 그동안 윤심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피로감과 저항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평가다.

특히 권성동 원내대표와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공동사퇴 요구가 이어지며, 정치적 신뢰 위기의 조짐도 보인다. 이는 단지 후보 한 명의 문제가 아니라, 지도부의 권위와 정당성 전반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장면이었다.

정당 구조 개편 요구로 이어질까

이번 사태는 단발적 혼란이 아니라, 국민의힘 내부에서 ‘당원의 의사와 지도부의 정치적 권한은 어디까지인가’라는 구조적 질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당 일각에선 공천 과정, 선대위 인선, 대선 전략 수립 전반에 있어 당원 참여 확대와 결정의 투명성 강화 요구가 분출할 조짐이다.

당원 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이미 “다시는 당 지도부가 임의로 후보를 바꾸려 해선 안 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국민의힘은 지금 당원 주권주의와 지도부 정치의 충돌이라는 구조적 갈등을 마주하고 있다.

김문수 후보가 다시 중심에 서게 된 지금, 진정한 시험은 이제부터다.

당원 민주주의를 존중하면서도 정무적 유연함을 확보하는 이중과제가, 향후 선대위 운영과 대선 전략에서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