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티브이 화면 갈무리-국민의힘 의총현장

[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민의힘의 대선후보 교체 시도가 실패하면서 당내 권력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의 사퇴로 비대위 체제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해진 가운데, 차기 리더십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10일 전당원투표에서 대선후보 교체안이 부결되자마자 당 안팎에서는 지도부 책임론과 더불어 당 운영의 정당성과 구심력 상실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권영세 위원장이 물러나며 비대위 공백이 발생한 가운데, 권성동 원내대표가 대행 체제를 맡겠다고 했지만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다.

16명의 친한동훈계 의원들이 공동 사퇴를 요구하며 "쌍권(權영세-權성동) 책임론"을 공식화한 것은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계파 갈등을 수면 위로 끌어올린 결정적 계기였다. 안철수계와 중도·비주류 의원들까지 지도부 전면 교체에 동참할 경우, 단순한 인적 쇄신을 넘어 당 전체의 노선·전략을 재조정해야 하는 위기로 번질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향후 지도체제다. 전당대회를 통한 새로운 비대위 구성 또는 조기 당대표 선출론이 부상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비대위 연장론, 권한 축소형 비대위 구성, 혹은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 전환 등 다양한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어 혼선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는 국민의힘 내부에서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에 기반한 후보 교체 시도가 당원 투표로 저지당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이는 곧 당원 민심과 지도부 판단이 어긋난 단절 지점을 보여주며, 당내 권력 구도가 친윤 단일축에서 다극 체제로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편, 김문수 후보가 중심이 되는 대선 선거전략 역시 전면 재정비가 불가피하다. ‘반이재명 전선’ 구축을 천명한 김 후보는 경선 경쟁자들과의 연대 구상을 밝혔지만, 실제 정책 연합이나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계파 간 합의가 원활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은 향후 며칠 내로 지도체제 안정화 여부와 대선 전략 재정비라는 두 가지 난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지도부 공백 사태가 장기화되면, 당 내외의 신뢰도 하락은 물론 대선 자체의 동력도 급속히 약화될 수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단순한 후보 교체 실패를 넘어 국민의힘 내부 정치지형의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