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짙어지는 가운데, 그의 강경한 보호무역·에너지 정책이 다시 등장할 경우 한국의 에너지 안보와 기후 전략이 중대한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고율 관세 부과, 청정에너지 협력 약화, 자국 중심의 에너지 산업 재편 등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은 에너지 수입 다변화와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재정비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가스연맹 2025년 조찬간담회에서는 트럼프 2기 가능성에 대비한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강경택 가스산업과장을 비롯해 한국가스공사, 가스기술공사 등 관계자와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후연구본부장

■ “트럼프 2기, 고율 관세와 기후정책 후퇴…한국, ‘에너지 체력’ 키워야”

이날 첫 발표자로 나선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후연구본부장은 “트럼프 2기의 미국은 더욱 강경하고 불확실한 에너지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은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재생에너지·수소 협력 확대 등 '체력 키우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중국산 배터리 및 재생에너지 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 ▲탄소중립 정책의 후퇴 ▲미국산 LNG 수출 전략 강화 등이 맞물릴 경우, 한국의 기후 목표 달성과 에너지 수급 안정성이 동시에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재생에너지는 세계적 대세이고, 미국도 민간 투자 기반은 여전히 활발하다”며 “한국은 수입 다변화와 블루수소·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미국과의 전략 협력을 이어가되, 기술력 중심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안세현 교수 “에너지 외교, 지금처럼 해선 안 된다… 워싱턴 로비력 확보 시급”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서울시립대 안세현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트럼프 2기는 이미 경험한 정책이 더 강력한 형태로 돌아올 뿐”이라며 “한국은 에너지 외교와 전환 전략을 전면 재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교수는 미국 에너지 정치가 반도체, 산업, 기후변화 등 전방위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특히 워싱턴의 입법·규제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와 로비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 사회 전반에 “에너지 안보에 대한 구조적 인식 부족”이 존재한다고 지적하며, “유류세 인하, LNG 관세 면제 같은 단기 대책이 위기의식을 마비시키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그는 ▲에너지 자원외교의 전면 재설계 ▲현실 기반 에너지 믹스 수립 ▲국제 트렌드의 지속적 업데이트 등을 주요 대응 전략으로 제시했다.

■가스연맹 “천연가스 산업, 새로운 전환점 맞이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가스연맹 송대호 사무총장은 “에너지 시장의 격변 속에 천연가스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며 “가스 산업은 탈탄소화·에너지 안보 강화의 중심축으로 재조명받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 강경택 가스산업과장 역시 “미국 알래스카 LNG 등 새로운 변수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며 “전문가들의 통찰을 바탕으로 미래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