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김익수 기자] 서울 용산구의회 윤정회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구 차원의 선제적 대응을 촉구했다. 국가 예방접종 지원이 제한적이라 일반 여성과 남성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지역 차원의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HPV는 자궁경부암, 구인두암, 두경부암 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자궁경부암은 백신 접종만으로 발병률을 90% 이상 낮출 수 있는 유일한 예방 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국가 HPV 예방접종 지원은 ▲12~17세 여성 청소년, ▲18~26세 저소득층 여성에 한정되어 있어, 일반 여성과 남성은 접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정부는 2026년부터 12세 남아를 대상으로 무료 접종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13~17세 남아는 여전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OECD 국가 중 남성에게 HPV 백신을 지원하지 않는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3개국에 불과하다.

윤정회 의원은 9일 열린 제300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용산구가 지역 실정에 맞춰 능동적으로 예방접종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자체 예산으로 접종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나, 용산구는 여전히 국가 지원 기조에만 의존하고 있어 접종 공백을 해소할 실질적 대책이 부족한 상황이다.

윤 의원은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부터 구민을 보호하는 것은 지방정부의 기본 책임”이라며, “정부 정책의 공백을 방치하지 말고 용산구가 먼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 내 어느 자치구도 접종 확대를 시행하지 않은 지금이야말로, 용산구가 선제적으로 길을 열고 모범 사례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윤정회 의원은 HPV 예방접종 지원 대상을 확대하면 자궁경부암뿐 아니라 남성 대상 암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 건강 수준 향상과 예방 비용 절감 효과가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