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김익수 기자] 인천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 발굴에 나섰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을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과 배출권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 지방정부 주도의 기후 대응 전략을 새롭게 열었다는 평가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0일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을 활용한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을 발굴하고 환경부 인증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0월 인천시·인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 인천지역본부가 체결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추진됐으며, 지난 7월 ‘건물부문 외부사업 컨설팅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본격화됐다.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은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의 경계 밖에서 추진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인증받아 배출권(KOC)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다. 인천시는 공동주택과 산업단지 등에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축 실적을 외부사업으로 인증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김성우 인천연구원 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장은 “이번 사업은 지방정부가 기후정책의 설계자이자 실행자로서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방법론을 통해 지속가능한 탄소감축 모델을 구축하고 다른 지자체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협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에너지공단 김강현 인천지역본부장도 “인천시의 외부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표적 사례로, 배출권거래제 내 활용 가능성이 높다”며 “공단도 이러한 선도적 시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방법론 발굴은 인천시가 단순한 참여를 넘어 제도 설계와 실행의 주체로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외부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시민 생활 속 에너지 전환을 뒷받침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