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조남준 기자] 대선 후보 등록을 나흘 앞둔 가운데, 여야가 각각 ‘단일화 담판’과 ‘민심 투어’로 대선 정국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가 7일 저녁 단일화를 위한 막판 회동에 나서고,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전북과 충남을 돌며 현장 행보를 이어간다.

국민의힘 내 단일화 문제로 인한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예비후보는 이날 오후 6시 단독 회동을 갖고 단일화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는 그제 조계사에서의 짧은 만남 이후 이틀 만의 재회다.

김 후보는 그간 단일화 논의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고, 특히 당 지도부의 압박에 반발하며 일정을 중단하기도 했다. 그는 단일화의 주도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한 상태다. 반면 한 후보는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나를 지지하는 이들이 더 많다”며 협상 주도권을 양보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등록 시한이 다가올수록 무소속 한 후보가 조직적 지원을 받기 어려워, 김 후보가 유리한 위치에서 '버티기 전략'을 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두 후보의 만남에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단일화 압박을 멈추지 않고 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사퇴하겠다는 배수진을 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당은 전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투표도 강행하며, 압도적 당심을 지렛대 삼아 김 후보를 더욱 압박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부에선 김 후보를 과도하게 몰아세울 경우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여권 내에서는 후보 교체론까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이재명 후보는 이날 전북 전주와 익산, 충남 지역을 방문하며 민심 경청 행보를 이어갔다. 전주에서는 영화감독·드라마 작가들과, 익산에서는 대한노인회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어버이날을 앞두고 고령층 공약도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 후보의 재판 리스크를 법적으로 차단하려는 시도도 병행하고 있다. 이른바 ‘이재명 보호법’으로 불리는 법안들이 잇따라 상임위를 통과할 전망이다.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의 '행위' 요건을 삭제하는 개정안과, 대통령 당선 시 재판을 중단하도록 하는 형사소송법 개정안이 각각 행안위와 법사위 통과를 앞두고 있다.

대법원이 지난 1일 이 후보에게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한 데 따른 대응으로, 민주당은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소추안 발의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