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김익수 기자]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 산업이 대전환점을 맞았다. (주)BADP코리아가 일상적인 자연 환경인 25℃ 일반 토양 조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 플라스틱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환경부의 ‘상온 일반토양 생분해’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했다. 이는 그간 58℃ 이상의 고온 산업퇴비 환경에서만 유효했던 기존 인증 체계의 한계를 넘어선 혁신으로, 실생활에서 실질적으로 분해 가능한 생분해 소재 기술의 새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친환경 소재 기술기업 ㈜BADP코리아(대표 고신성)는 지난 3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의 ‘상온 일반토양 생분해 시험(EL724, ISO17556)’을 통과해 환경부로부터 국내 최초로 생분해 플라스틱 환경표지 인증을 공식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20~25℃ 범위의 자연 토양 조건에서도 플라스틱 소재가 분해됨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결과로, ‘고온 산업퇴비화(ISO14855-1, ASTM6400)’ 조건에만 맞춰졌던 기존의 생분해 인증 프레임을 전면적으로 확장하는 의미를 지닌다.

환경부는 이미 2024년 말까지 산업퇴비화 기준 중심의 인증 체계를 종료하고, 2028년까지 유예기간을 두기로 발표한 바 있다. BADP코리아는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현실적인 분해 환경을 충족시키는 기술력을 업계 최초로 입증했다.

특히 이번 인증 획득은 BADP코리아가 독자 개발한 ‘고강도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신소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PBAT는 생분해 가능성과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생분해 소재로, 기존 PLA(Polylactic Acid: 폴리락트산)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PLA는 사탕수수나 옥수수 전분 기반으로 만들어져 ‘친환경’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실제로는 58℃ 이상의 특수 조건에서만 분해되며, 내열성·내구성·생분해율 측면에서도 상업적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대만과 미국 등 해외에서는 PLA 제품의 실질적 환경유해성과 재활용 체계 저해 문제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BADP코리아의 고강도 PBAT는 이런 한계를 넘어, 상온 토양에서 2년 이내 90% 이상의 생분해가 가능하고, 기존 범용 플라스틱 대비 기계적 물성도 뒤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필름, 포장재, 농업용 자재, 일회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PLA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정책 변화도 BADP코리아의 기술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2023년 대만 환경보호청(EPAT)은 PLA 용기의 분해 조건 제한성과 재활용 품질 저하 가능성을 문제 삼아 해당 제품의 사용 제한을 공식화했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도 PLA 제품의 ‘비현실적 퇴비화 조건’에 대해 환경단체와 정부 기관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CalRecycle(캘리포니아 자원재활용국)은 PLA가 기존 퇴비화 인프라에서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으며, PET 등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떨어뜨린다고 경고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BADP코리아의 ‘상온 일반토양 생분해 인증’은 PLA 중심 생분해 소재 시장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국제적 신뢰 확보와 함께 기술 리더십을 선점하게 됐다.

BADP코리아는 PBAT 외에도, 기존 난분해성 석유화학 플라스틱을 생분해 가능하게 하는 ‘효소 기반 친환경 플라스틱 분해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PE, PP, PS, PVC, PET 등 5대 석유계 플라스틱에 BADP 효소 첨가제를 제품 생산단계에서 혼합하면, 제품 폐기 후 외부 환경(호기성 효소)이나 매립 환경(혐기성 효소)에서 미세플라스틱 없이 완전 분해가 가능하다. 이 기술은 기존 재활용 공정과 호환되며, 일반 플라스틱과의 혼합 수거도 가능해 실질적인 순환경제를 구현할 수 있다.

UN경제사회이사회 산하 국제녹색휴머니티기구 탄소중립 실천 범국민운동본부 플라스틱 환경개선 담당 김경빈 사무국장은 “그간 58℃ 고온에서만 분해되는 생분해 인증은 오히려 Green Washing의 소지를 내포해왔다”며, “이번 BADP코리아의 상온 일반토양 생분해 인증은 국제 사회가 지향해야 할 기술 전환의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BADP코리아 고신성 대표는 “이번 인증을 기반으로 국내외 대형 유통망과의 친환경 포장재 공급 협력, 국책·민간 R&D 과제 확대, 생분해 인증체계 고도화, 탄소 저감 정책 참여 등 다방면의 전략을 전개할 계획”이라면서 “이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소재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며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