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데일리 김규훈 기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서왕진 의원(조국혁신당·광주시당 위원장)은 10일 경제부처 예산심사 질의에서 “광주와 전남이 연계해 ‘학습–추론–활용’ 전주기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정부 차원의 일관된 추진과 국가적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광주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 무산 사태를 거론하며 “담당 부처가 대선 공약이자 국정과제를 정면으로 뒤집어 지역민에게 큰 상실감을 안겼다”며 “집권여당이 ‘광주 1호 공약 이행’을 약속하면서도 사업 구조 변경을 묵인한 것은 명백한 정책 엇박자”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책사업의 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정부가 민간 판단과 이익에만 맡겨서는 안 된다”며 “국정과제의 방향을 바로 세우고 공공성과 책임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특히 AI 집적단지 2단계 실증사업과 관련해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 무산 이후 지역에서는 2단계 사업마저 ‘속빈 강정’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검토 과정에서 지역 연계성에 가점을 부여하거나 광주 실증 조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또 서 의원은 “광주는 실증·서비스, 전남은 컴퓨팅·인프라 역할을 맡아 AI 전주기 생태계를 완성할 수 있다”며 “광주·전남 AI 생태계를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하고 산업 현장의 AI 인프라를 실증·사업 확산과 연계해 국가 반도체 산업 발전의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서 의원은 “▲1단계 데이터센터 고도화 및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구축 ▲AI 실증사업 확대 및 사업화 지원 강화 ▲AI 연구소 설립과 인재양성 등 세 가지 과제를 정부가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광주·전남이 AI 시범·실증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실질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배 장관은 “광주와 전남은 충분히 AI 시범도시·실증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